-
좋은 객체지향 설계 법칙(SOLID)Back-end/스프링부트 2020. 11. 29. 17:25
1. SRP: 단일 책임 원칙 :
한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. 변경이 있을 때 파급 효과가 적으면 단일 책임 원칙을 잘 따른 것.
ex) UI 변경, 객체의 생성과 사용을 분리
2.OCP: 개방-폐쇄 원칙
소프트웨어 요소는 확장에 열려 있으나 변경에는 닫혀 있어야 한다. (다형성을 활용)
인터페이스를 구현한 새로운 클래스를 하나 만들어서 새로운 기능을 구현
3.LSP: 리스코프 치환 원칙
프로그램의 객체는 프로그램의 정확성을 깨뜨리지 않으면서 하위 타입의 인스턴스로 바꿀 수 있어야한다.
ex) 자동차 인터페이스의 엑셀은 앞으로 가라는 기능, 뒤로가게 구현하면 LSP 위반, 느리더라도 앞으로 가야함.
4.ISP: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
특정 클라이언트를 위한 인터페이스 여러 개가 범용 인터페이스 하나보다 낫다.
자동차 인터페이스 -> 운전 인터페이스, 정비 인터페이스로 분리
사용자 클라이언트 -> 운전자 클라이언트, 정비사 클라이언트로 분리
-> 인터페이스가 명확해지고, 대체 가능성이 높아진다.
5.DIP : 의존관계 역전 원칙
프로그래머는 추성화에 의존해야지, 구체와에 의존하면 안된다. 의존성 주입은 이 원칙을 따르는 방법 중 하나다.
클래스에 의존하지 말고, 인터페이스에 의존하라는 뜻. (역할에 의존하게 해야한다.) \
객체지향의 핵심은 다형성.
다형성 만으로는 쉽게 부품을 갈아 기우듯이 개발 할 수없다.
다형성 만으로는 구현 객체를 변경할 때 클라이언트 코드도 함께 변경된다. 즉, OCP, DIP를 지킬 수 없다.
'Back-end > 스프링부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다양한 의존관계 주입 방법 (0) 2021.01.25 Caused by: org.hibernate.TransientObjectException: object references an unsaved transient instance ~ (0) 2020.12.16 hibernate 오류 : ids for this class must be manually assigned before calling save() (1) 2020.10.15 [JPA] 외래키 - 연관관계 주인 (0) 2020.10.05 Spring 웹 어플리케이션 계층 구조 (0) 2020.10.05